지원금 정보

청년 전세대출 조건 총정리

느린시사뉴스 2025. 4. 17. 13:23
반응형

전세살이 청년 필독!

2025년 최신 전세대출 조건 총정리**

“전세 살고 싶은데 돈이 없어요…”
그럴 땐 정부 지원 전세대출을 잘 활용하면
보증금 수천만 원도 월 몇 만 원 이자로 가능!


1. 청년 전세보증금 대출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 대상: 만 19~34세, 무주택자,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 한도: 수도권 최대 1억 2천만 원, 지방 최대 8천만 원
• 금리: 연 1.2% ~ 2.1% (소득 따라 차등)
• 특징: 보증금의 최대 90%까지 대출 가능
• 신청: 은행 or 주택도시기금 홈페이지



2.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대출
• 대상: 중소기업 재직 중인 청년 (만 19~34세)
• 한도: 최대 1억 원 (100% 대출 가능)
• 금리: 연 1.2% 고정금리
• 특징: 이자만 내는 방식, 실질 부담 가장 낮음
• 신청: 기업은행, 우리은행, 국민은행 등



3. 청년 맞춤형 전세대출 (은행 자체 상품)
• 대상: 직장인, 프리랜서, 취업준비생 등 다양한 청년층
• 한도: 평균 1억2억 원 (보통 보증금 8090%)
• 금리: 연 2.0~3.5% (은행별 상이)
• 특징: 조건은 완화됐지만 금리는 민간 기준
• 신청: 각 시중은행 (카카오뱅크, 신한, 하나 등)



4. 신혼부부 전세자금대출 (참고용)
• 대상: 결혼 7년 이내 부부
• 한도: 수도권 2억 원, 지방 1.6억 원
• 금리: 연 1.3%~2.1%
• ※ 청년 신혼부부도 중복 지원 가능!

전세는 그렇게 비싸지 않아요
정부 전세대출만 잘 활용해도
보증금 수천만 원을 월 5만~10만 원 이자로 해결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