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유튜브는 왜 돈이 될까? 분노, 분열, 가짜뉴스… 우리는 콘텐츠를 보는 걸까, 감정을 소비하는 걸까
어쩌다 정치 유튜브를 눌렀다.처음엔 그저 궁금했다.그런데 이상하게 손이 멈추지 않는다.계속 보고,계속 분노하고,계속 추천된다.그리고 문득 깨닫는다.“이건 정보가 아니라 감정이네.”정치 콘텐츠는 더 이상 뉴스 해설이 아니다.지금은 **분노와 증오를 소재로 삼는 거대한 ‘비즈니스’**다.유튜브에서 수익이 되는 키워드는 대부분‘정치, 혐오, 분열, 선동’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그래서 우리는 질문하게 된다.“정치 유튜브는 왜 그렇게 돈이 되는 걸까?”그 구조 속에서 나는 정말 ‘보는 사람’일까, 아니면 ‘이용당하는 감정’일까.1. “자극은 클릭을 만든다” – 정치 콘텐츠의 시작점어느 날 유튜브를 켠다.“○○당 실체 폭로”“대한민국 망한다”“정치인은 전부 쓰레기”썸네일 속 붉은 글씨, 분노에 찬 목소리.그리고 그..
2025. 5. 12.
사실은 진실일까? 정보의 시대, 우리는 무엇을 믿고 있는가
“속보: ○○ 사건 전말 밝혀져”“단독: ○○ 발언의 진짜 의미는…”뉴스는 우리를 끊임없이 흔든다.하지만 우리는 정말,그 ‘사실’이 진실이라고 믿어도 되는 걸까?⸻뉴스를 보는 순간, 나는 판단하는가, 소비하는가언론은 사실을 나열한다.그러나 그 나열은 누군가의 의도에 의해 편집되고, 순서가 바뀌고, 강조된다.결국 우리는 ‘팩트’를 보는 것이 아니라,누가 그것을 어떻게 말하느냐를 보고 있는 건 아닐까.뉴스는 이제 ‘정보’가 아닌‘소비되는 감정’이 되었다.⸻많은 언론이 말하면, 그건 진짜일까?‘다수가 말하면 진실’이 되는 세상.하지만 진실은 언제나 소수로부터 시작됐다. • 독립언론은 외면받고, • 팩트체크보다 속보 경쟁이 우선되고, • 조회수가 진실을 이긴다.지금의 언론은진실을 찾는가, 주목받는가.⸻알고 있다..
2025. 5. 11.
법이 정치보다 강할 수 있는가? 정치가 무너진 자리, 법은 무엇을 대변하고 있는가
정치가 흔들릴 때, 우리는 법을 믿는다.정당은 바뀌고, 대통령은 탄핵되고, 권력은 사라진다.하지만 그 순간에도,사람들은 판결문을 기다리고, 헌법의 문장을 다시 꺼내 본다.법은 과연 정치보다 강할 수 있을까?아니, 우리는 법이 정치보다 강하길 바라는 것일까?⸻정치가 무너졌을 때, 법은 중립일 수 있는가?“법 앞에 만인은 평등하다.”하지만 실제로는 어떤가.정치적 위기가 닥치면법원은 여론과 충돌하고,검찰은 권력의 잔재로 의심받는다.법은 권력의 감시자인가, 아니면 연장선인가.⸻사법부는 정치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일 수 있는가?헌법은 말한다.“사법권은 법관에 의해 독립적으로 행사된다.”그러나 그 법관을 임명하는 건 정치인이고,그 임명 구조 속에는 이해관계와 계산이 녹아 있다.사법부는 언제까지나 독립적일 수 있을까?아..
2025. 5. 11.
“정치가 흔들릴 때, 국민은 어디에 서 있어야 하는가”– 대선 혼란 속, 우리는 무엇을 보고 판단할 것인가
“정치가 흔들릴 때, 국민은 어디에 서 있어야 하는가”대선 한 달 전, 후보 교체 실패와 전직 대통령의 구속…우리는 어떤 기준으로 ‘올바름’을 판단해야 하는가.⸻불과 몇 달 전만 해도, 사람들은 정치에 피로해 있었다.출산율, 전세 사기, 일자리 문제… 피부에 와닿는 건 현실이었고, 정치는 늘 ‘저들만의 이야기’였다.하지만 지금, 정치는 다시 우리의 일상에 깊숙이 침투했다.전직 대통령이 탄핵되고, 구속되었다.보수당은 대선을 앞두고 ‘더 나은 인물’을 내세우기 위해 후보 교체를 시도했지만 실패했다.법원은 “절차적 정당성”을 이유로 기존 후보의 손을 들어줬다.누구는 말한다.“정당보다 법원이 낫다.”“정치가 무너졌으니 사법이 나설 수밖에.”그러나 묻고 싶다.정말, 국민은 언제부터 이렇게까지 정치에 무기력해진 것..
2025. 5. 11.